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시작

게시물검색

총게시물 :19 / 페이지 :2/2

9. 삼신제(三神祭) 2016-11-21
삼신이란 아기의 점지와 산모, 그리고 생아를 맡아보며 수호한다는 3신령을 말하는 것인데, 이 기를 낳으면 3일이 되는 날 땅바닥에 짚을 깔로 그 위에 밥 세그릇과, 미역국 세 그릇을 차려놓고 삼신할머니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삼신제를 지내는 것은 어린 아기의 건강과 장수를 바라는 것이다.
또한 어린 아기가 병에 걸렸을 때나 산모가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도 삼신할머니에게 밥을 해 놓고, 병이 낫고 젖이 잘 나오도록 하여 달라고 삼신제를 지냈는데, 요즈음은 이같은 습속이 거의 사라진 것 같다.
8. 산신제 2016-11-21
집터를 지키는 터주신이 있고, 집을 지키는 성주가 있는가 하면, 부엌을 지키는 조왕신이 있듯 이 산에는 역시 산을 지키는 산신이 있었다.
이 산신의 모습은 흔히 신선이나 호랑이 상으로 나타냈는데, 산소를 쓰거나 산소에 제사를 지 내거나 혹은 산을 다룰 때는 반드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야 했으니 이를 산신제라 일컬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산신제의 내력을 살펴보면 매우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으니, 즉 신라는 이미 3산5악에 그리고 고려는 송악산과 남산들에 춘추로 산신제를 지냈는데, 이 유풍은 다음의 조선조로 이어져 내려와 국가의 태평을 비는 산신제를 지냈던 것이다.
지금도 이 습속이 남아있어 신을 다룰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산신제를 지내고 있는 것 같다.
7. 굿 2016-11-21
굿이란 무당이 노래와 춤을 추며 신에게 치성드리는 의식의 하나이다.
즉 초복(招福), 제액(除厄), 안택(安宅), 요병(療病), 진령(鎭靈), 초혼(招魂), 기우(祈雨), 축귀(逐 鬼) 등을 목적으로 무당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는 노래, 춤, 의식 일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굿은 시종 노래와 춤을 위주로 진행되는데 이때의 춤은 도무(跳舞)이며 노래는 신가 (神歌)를 부르는데, 처음은 두 박자인 '덩덩'으로부터 시작하여 '덩덕궁'의 세 박자 음율로 연속되다가, 절정에 이르면 다시 다섯 박자인 '덩덩 덩덕궁'의 음율로 반복되면서 굿은 계속된다.
그런데 굿은 대략 4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단계는 무격(巫覡)이 신령을 초청하는 것이다.
초청한 신령이 강림(降臨)하면, 무격은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하고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의 이야기는 신령들에게 제주의 청을 알리는 일종의 대담이 되는 것이다.
이 대담에 이어 제2단 계로 들어가는데, 이 때는 도무(跳舞)와 함께 지나칠 정도의 행동과 소리를 크게 지르면서 진행되는데, 굿의 목적이 병자를 치유하는데 있다면, 신령에게 병의 근원을 물어 이 중에서 가장 권위있는 신령에게 치유를 부탁하며 제3단계로 들어간다.
여기서는 무격들이 장구를 치고 방울을 흔들며 또한 무악으로 환자에게 주술적인 행동을 하면 서, 병귀(病鬼)에게 음식물을 주어 이를 먹고 나가라는 것이다.
즉 축귀(逐鬼)하는 시늉을 한다.
이것으로 병자의 치유가 끝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제4단계에 들어가는데, 여기서는 병자 치유의 목적으로 초청했던 신령들을 다시 왔던 곳으로 돌려보내는 마무리의 절차로서 굿이 끝나는 것이다.
그러나 굿은 이 4단계의 과 정에서 거리의 행사가 있게 되는데, 대략 12 내지 14거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도 역 시 무격과 지역에 따라 일정치 않다.
참고로 12거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 가망청배, 젠적, 불사, 조상, 상산, 별상, 대감, 제석, 오귀, 군웅, 창부 등이다.
그리고 굿은 대개 씨끔굿(일명 우구굿), 안택굿, 별신굿 등이 있다.
요즈음도 굿이 간간히 행하여지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그 원형과는 거리가 먼 매우 변형되고 또한 간소화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현대적 감각에서 이 굿을 본다면 다분히 원시적이요 비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이런 논리적인 거론 이전에 굿은 우리 민족의 토속 종교의 하나로 그 토대를 굳혀오면서 민족의 생활을 지배하여 온 정신적인 힘의 근원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6. 객귀풀이 2016-11-21
객귀란 글자 그대로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혼령을 말하는 것인데, 외출하였다고 돌아와서 병에 걸렸다든가, 또는 다른 집에서 들어온 음식물을 먹고 갑자기 병이 났을 때 농촌에서는 흔히 객귀 들렸다 하여 이를 쫓아내는 것이다.
객귀 쫓는 것을 객귀물린다고 하는데, 이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마을에서 다년간 경험이 있거나 아니면 판수가 주로 실시한다.
병자측의 부름을 받고 달려간 판수는 병자의 상태를 살펴본 다음, 객귀를 쫓아내기 위해 즉시 된장국(토장국)을 끓이게 하여 이를 바가지에 담아가지고 병자의 입에 갖다 대며 침을 3번 뱉게 한다.
이 때 판수는 병자의 머리카락을 부엌칼로 3번씩 조금씩 잘라 바가지에 넣어가지고 밖으로 나오면서 재빨리 방문을 닫고 칼로 문살을 득득 엑스(X)자형으로 긁은 다음, 방문에 소금을 뿌리고 마당에 나와 된장국을 버리는데, 이때 주문(呪文)을 외고 바가지는 자기 발 앞에 엎어 놓으며 칼 끝으로 땅바닥을 약 1m 가량 가로고 긋고서 10여보 앞으로 칼을 던지어 땅바닥에 꽂히게 한다.
이 때 꽂힌 칼날이 집안 쪽으로 향해 있으면 칼을 빼내어 처음부터 되풀이해야 한다.
왜냐하면 칼날이 집안으로 향해 있으면 아직 병자에게 붙어있는 귀신(객귀)이 밖으로 나가지 않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이는 너무나 미신적인 행위인 것 같지만 이같이 객귀풀이를 하면 병자가 낳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요즈음은 이같은 습속도 없어졌지만, 병이 나면 즉시 병원으로 달려가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상식이기 때문이다.
5. 황도 당제(黃島堂祭) 2016-11-21
황도당제란 본군의 안면읍 황도리에서 매년 음력으로 정월 초순에 거행되는 대동제를 말하는 것이다.
황도는 본래 섬이었는데 지난 1979년에 육지(창기리)와 연육교 (連陸橋)가 가설되어 지금은 섬으로서의 실감이 나지 않지만, 매년 당제가 거행되고 있으므로 이곳의 지명을 붙여 편의 상 '황도 당제'라 부르고 있다(실은 지명을 생략하고 당제라고 부르는 것이 예사이다).
이 황도리에는 큰 마을, 은거지, 집너머, 삶마곰 등 자연 부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민가 약 100여호에 인구 5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 비교적 평화로운 마을이다.
그런데 이 황도리에서 거행되는 당제는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드믄 특이점이 있다.
즉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이 뱀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본래 당집 안에는 뱀의 그림 을 붙여놓고 이를 신봉했었는데,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에 마을의 일부 청년들이 미신 타파의 일환으로 이를 제거해 불태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한 것은 뱀이 그려져 있는 부분은 타지 않고 오히려 선명하게 나타나 마치 생동감을 느끼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본 사람들은 모두 괴이하게 생각하고 즉시 땅 속에 묻어 주었다는 사실이 오늘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 황도리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고 되었는지 그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나주 정씨와 해주 오씨가 최초로 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황도리에 정착하게 된 정씨와 오씨는 서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자기 씨족들이 한데 어울려 생활하면서 그 세력을 확산시켜 나갔던 것이다.
정씨는 큰 마을, 오씨는 은거지에 각각 당집을 짓고 매년 정초에 당제를 극진히 지내왔는데, 오씨 들의 가세가 점점 약화되어 마침내 그들의 당집이 허물어지고 말았다.
이 때 오씨들은 문중 회의를 열고 합의한 끝에 당집을 다시 세우지 않고 정씨들의 당집에서 함께 당제를 지내기로 하였던 것이다.
현존하는 당집이 그동안 몇차례 중수는 하였지만 근원은 정씨들의 당집이 되는 것이다.
이 당 집은 당산에 조영되었는데, 3,4평에 불과한 목조건물과 두평 미만의 초라한 산신당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당집의 주위에는 수령(樹齡) 수 십년을 자랑하는 아름드리 나무들이 하늘을 찌르고 있어, 이 당집의 역사를 실증해 주고 있다.
지금도 매년 정초에 이 당제가 거행되고 있으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당제를 주관하는 제주를 달리 당주라 부르고 또 이 당주를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을 화주라 하는데, 이들은 주민들이 선출하는 것이다.
즉 당주는 음력 섣달 보름에 당제 준비를 위해 열리는 대동계에서 선출한다.
그러나 이 당주는 아무나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당주 자격이 있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
일단 선출된 당주는 여러 가지 금기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하는 것이다.
만약 금기 사항을 지키지 않고 부정한 자가 당주가 되어 이 당제를 주관하였을 때, 당주는 물론 마을 주민들이 모두 신령의 화를 입어 불행해진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주는 이 금기 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다.
특히 당주는 당제를 무사히 끝낸 뒤에도 다음해의 당주가 선정되기 전에는 역시 금기를 철저히 지켜야 하는 것이 이 황도 당제의 특징이기도 하다.
당제를 마친 당주가 1년동안 온갖 부정한 것을 보아서도 안되며 또한 행하여도 안됨은 물론, 심지어 자기 집의 제사에도 참여할 수 없는 것이다
4. 태안 노신제(泰安路神祭) 2016-11-21
노신제는 태안읍 남문리 2구 회관 마당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저녁 이장을 비롯하여 부락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거행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매우 오래된 것이다.
본래 태안읍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4방에서 거행하였는데, 동문리 1구는 샘골 입구의 여우 내 다리 앞, 동문리 2구는 태안 극장 입구 충청은행 앞, 남문리1구는 환동 입구 한밭 목욕탕 앞, 그리 고 남문리 2구는 태안 여자상업고등학교 입구인 브러크 공장 근처에서 각각 노신제를 거행하였으며, 따라서 제사 장소는 간이 시설로 매년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즉 4귀퉁이에 긴 말뚝을 박고 밀 짚방석으로 가린 다음 자리를 깔아 상을 차려놓고 제례를 거행하는데, 제물은 대략 주(酒), 과 (果), 포(脯), 채(採)를 비롯하여 시루떡을 통채로 놓고 이장이 주관하여 거행하였다.
이렇게 1948년까지 해방 후에도 계속해서 노신제를 지내왔으나, 정부 수립 후 미신 타파 운동 등으로 인하여 중단되고 말았다.
그 후 중단된 채 30여년 내려오다 지난 1980년부터 부활되어 거행하고 있는데, 지난날과 같이 동서남북의 4곳에서 지내는 것이 아니고, 남문리 2구만이 회관의 마당에서 거행하고 있다.
제례 장소는 옛날과 같이 3면을 밀짚방석으로 가리고 자리를 깐 다음 상을 놓고 제물을 진설하는데, 이 제물은 모두 이장이 책임지고 마련한다.
제례 절차는 3헌과 독축으로 끝나는데 초헌관은 마을의 영좌, 아헌관은 이장, 종헌관은 새마을 지도자가 행한다.
이들 제주(3헌관)는 노신제를 지내기 위해 10일간 집에서 근신하고 있다가 목욕재계한 다음 제례에 임한다.
근신이라고 하지만 옛날과 같이 외출도 금하고 육식도 삼가며, 부정한 짓도 보지 않고, 또한 행하지도 않는 엄격한 의미에서의 근신이 아니라 형식상의 근신인 것이다.
3. 태안 중앙 대제 2016-11-21
중앙 대제는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저녁에 태안 경이정에서 거행되는 제례를 말한다.
이 대제가 이 곳에서 거행되기 시작한 것은 23년 전인 1972년부터인데, 그 기원은 산신제에서 기인된 것이다.
백화산 중턱에 자리잡은 태을암과 마애불상이 있는 중간 지점인 차도 위 벼랑 밑 편편한 곳에 산신당을 짓고 매년 정월에 지성으로 산신제를 지내왔으나, 오랫동안 돌보지 않은 탓이었는지 산 신당의 퇴락으로 인하여 제례의식이 지난 1936년에 중단되었다가 그후 36년만에 다시 부활되어 오늘에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1972년 태안읍 내에 거주하던 남자 노인들이 중심이 되어서 숙의한 끝에 산신제를 다시 지내기 로 결정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옛날같이 산신당을 짓고 그 곳에서 산신제를 지내기로 한 것이 아 니라, 명칭도 중앙대제로 개칭하고 장소도 경이정에서 지내기로 합의하고, 당년부터 노인들이 제 물을 준비하는 등 모든 제의 절차를 주관하여 수년간 내려오다 젊은 사람들이 이를 인수받아 지 내고 있다.
즉 동, 남문리 이장들이 맡아서 주관하고 있다.
제의 절차를 살펴보면 경이정의 마루에 자리를 깔고 병풍을 친 다음 큰 상에 제물을 차려놓고 3헌과 독축으로 끝나는데, 초헌관은 읍장, 아헌 종헌은 각 기관장이 행한다.
그리고 모든 제물은 이장들이 준비하고 주관한다.
그러나 제례의식은 본래의 원형과는 많이 변형된 이른 바 현대식의 편리 위주로 변질된 느낌을 찾아볼 수 있다.
2. 동신제 2016-11-21
동신제란 마을을 지켜준다는 수호신에게 지내는 일종의 제의(祭儀)행사를 말한다.
동신제는 마을 전체의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풍년을 기원하는 뜻에서 마을 주민들이 합 동으로 거행하는 제의 형식인 것이다.
이같은 공동의식을 통하여 부락민의 공동체 의식(儀式)을 도모하고 아울러 단합을 꾀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각 지방에 따라 명칭은 다르지만 동신(洞神)을 모시고 제의를 거행하는 것은 다를 바가 없었다.
즉 산신당, 서낭당 등이 바로 그것인데, 우리 충남 지방에선 주로 산신당을 모시고 제의를 행한 것 같다.
물론 동신제는 마을 전체의 공동 이익을 꾀하는 제의였지만, 마을 주민이 함께 이를 주관한 것이 아니고, 주민 중에서 제관(祭官)을 선출하여 의식을 관장하였는데, 제관으로 선출된 사람은 부정(不淨)이 없어야 했다.
따라서 선출된 제관은 외출을 삼가고 아울러 제관의 집에는 외래인의 출 입을 막기 위해 최소한 보름 전에는 출입문 (대문) 앞에 황토를 3무더기 쌓아 놓고 문 위엔 금줄을 달아 출입을 통제하는 등 금기(禁忌)가 매우 까다로웠다.
그러나 제관은 물론 마을 주민이 모두 합심하여 금기를 지키고 부정한 일을 하지 말아야 하며 만약 멀리 여행을 하였다가 그곳에서 부정한 것을 보았으면 동신제가 끝나기 전에 집에 돌아오지 못하는 등의 금기를 엄격히 지켜야 했다.
왜냐하면 부정한 일이 있었는데 동신제를 지냈을 경우에는 신의 노여움을 사서 마을 전체에 큰 화가 미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신제를 거행하는 형식은 유가제의(儒家祭儀)와 당굿 형식이 있었는데, 이는 각 지방에 따라 달라졌으며 또한 절차 및 그 형식도 다소 차이가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요즘도 지역에 따라 동신제가 실시되어오고 있지만, 그 절차는 매우 간소화되어 변형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그 실례를 찾아보면 태안에서 정월 열 나흗날 밤에 남문리2구에서 지내는 노신제와 그리고 경이정(憬夷亭)에서 지내고 있는 중앙대제가 그것이다.
본래의 동신제와 오늘의 그것을 비교한다면 천양지차가 아닐 수 없다.
만약 오늘날 동신이 존재한다면 노여움을 사서 큰 화가 미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앞서기도 한다.
1. 기우제 2016-11-21
기우제란 가뭄이 심할 때에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말한다.
즉 하지(夏至)가 지나도록 비가 내리지 않아 모내기를 할 수 없고 또한 밭곡식이 말라서 비가 오기를 기원한 제사이다.
기우제는 정부나 혹은 고을과 각 마을 등 전국 각지에서 행해졌는데, 이 때의 제주(祭主)는 왕이나 지방관원 또는 마을의 장이 맡았던 것이다.
또한 불교계에서는 가뭄이 들었을 때에 용왕 운우경(龍王雲雨經)을 외면서 비내리기를 기원하는 법회를 열었으며, 그리고 고려조 때에는 가물 때에 수시로 기우 도량 (祈雨道場)을 열었다.
특히 고려 충목왕(忠穆王)은 몸소 내전에 기우도량을 베풀었던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옛날에는 가뭄이 들면 왕이 정치를 잘못하여 그 벌로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가물면 임금 스스로가 목욕 재계하고 정성드려 기우제를 지내야 했던 것이다.
지금도 각 지역에는 옛날에 기우제를 지내던 기우단(祈雨壇)의 유적이 남아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요즘은 각 지방에 거대한 댐이 조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하수가 개발되어 있어 전천후 농사가 가능할 정도에 이르게 된 것이다.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화예술팀
  • 담당자 : 박정은
  • 연락처 : 041-670-5929
  • 최종수정일 : 2024-01-19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