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주아의 특성

- 마늘은 완전추대 작물로 꽃은 퇴화되고 마늘쪽과 같은 구조의 주아가 생김
- 주아는 마늘의 끝에 붙어 있어 각종 병 및 바이러스 감염이 적다.
- 쫑(총포) 1개당 주아 수는 한지형마늘은 8~15개, 난지형 30~40개 정도
- 주아는 바이러스 감염이 인편보다 훨씬 낮고 조직이 치밀해 증식률이 높음
주아재배의 효과
- 주아이용 우량종구 자가생산을 할 경우 종구비용의 70%정도 경영비 절감
- 바이러스 감염이 적어 30%정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마늘재배면적의 15~20%의 면적이 필요하며 정밀관리가 용이하다.
주아재배에 의한 우량종구 생산 체계
10ha당 한지형마늘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체계
- 주아채취
(6월) - 주아파종
(10월) - 통마늘수확
(익년 6월) - 통마늘파종
(10월) - 우량종구생산
(6월)
- 마늘 수확 전·후에 충실한 주아를 채취한다.
- 보통 인편마늘보다 1주일정도 빨리 파종한다.
- 이듬해 주대가 녹아 없어지기 전에 수확한다.
- 10월 중·하순에 2~4g 정도의 통마늘을 파종한다.
- 이듬해 6월에 정상적인 육쪽마늘을 수확하여 종구용으로 활용한다.
주아채취 및 보관
- 병해충 피해가 없고 완전히 여문 주아를 채취(마늘 수확 전·후 채취)
- 화경(쫑 길이)을 20~30㎝ 되도록 길게 채취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
- 화경이 노랗게 마를 때까지 충분히 후숙시킨 후 총포만 잘라 보관
- 화랑곡나방의 유충 피해 방지를 위하여 디메토(유) 1000배액을 2회 처리
파종전 준비
- 총포체 심기 : 쫑대를 짧게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준 후 소독
- 주아소독
- 파종전 2일정도 20℃의 미지근한 물에 담근 후 베노람(수)500배+디메토(수)1,000배액으로 30분~1시간 침지소독 후 그늘에 말려 파종한다.
파 종
- 파종시기 : 일반 인편재배보다 7일 정도 일찍 파종(10월 중·하순)
- 파종간격(총포체) : 12~15×10㎝, 파종깊이 : 3㎝
- 기타 파종방법 : 모아심기, 줄뿌림, 점(흩어)뿌림으로 재배할 수 있다.
- 주아를 크기별로 대(0.4g이상), 중(0.2~0.4g), 소(0.2g이하)로 구분 파종
포장관리
- 재배관리는 일반재배에 준하여 관리한다.
- 파종 후 가뭄시 반드시 물주기 실시
- 퇴비는 충분히 주고 화학비료는 일반재배의 1/3정도 줄여 준다.
- 비닐피복은 일반재배와 같이하고 봄에“-” 찢기한 후 4월에 제거한다
수 확
- 일반(인편)재배보다 1주일 정도 일찍 수확(주대가 완전히 마르기 전)
- 주대가 완전히 마르거나 비가올 경우 유실양이 많다.
- 수확 후 주대가 있는 상태로 엮거나 통구마늘만 망사자루에 담아서 보관
통구마늘 재배
- 종구로 사용하기 적당한 크기 2~4g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2g이하 작은 것은 따로 파종하여 관리 한다.
- 통구마늘은 껍질이 두꺼워 뿌리내림이 불량하기 때문에 반드시 파종 전 2일정도 미지근한 물에 담근 후 소독하여 파종한다.(주아파종에 준한다)
- 파종거리는 15~20×10㎝가 적당하며 파종깊이는 5~7㎝깊이로 파종한다.
- 10a 당 통구마늘 소요량은 150~160㎏이 필요하다.
- 포장관리는 일반마늘재배와 같은 방법으로 관리한다.
- 이듬해 생산된 인편마늘을 우량종구로 2~3년 활용할 수 있다.
- 담당부서 : 원예특작팀
- 담당자 : 문정미
- 연락처 : 0416702819
- 최종수정일 : 2020-10-14